
위반사례
연구윤리 위반 및 논문철회 등의 사례를 제공합니다.
Total 238 Page 10 / 24
-
1
[Retraction Watch] Abbas Farmany의 논문 철회 사례
한 Springer Nature1) 발행 저널은 동료 심사 과정에서 충분히 발견될 수 있었던 수많은 오류들을 이유로, 건설 및 토목 업계의 종사자들이 잠재적으로 유해한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것에 대한 논문(2020년 게재)을 철회했다.
해당 논문 『Citrate stabilized Fe3O4/DMG modified carbon paste electrode for determination of octamethylcyclotetrasiloxane in blood plasma and urine samples of cement factory workers』는 2020년 4월 BMC Chemistry에 게재되었으며, 논문의 저자는 이란 하마단 의과대학(Hamadan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in Iran)의 Rashid Heidarimoghadam과 Abbas Farmany이다. -
2
[Retraction Watch] Linyu Yang이 이끄는 연구진의 논문 철회 사례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던 것을 철회하는 것이 가능할까? 적어도 한 저널은 이 난제에 대한 답이 ‘예(yes)’라고 생각한다.
쓰촨성 서남의학대학 부속병원 정형외과(the Department of Orthopedics at the Affiliated Hospital of Southwest Medical University, in Sichuan)의 Linyu Yang이 이끄는 연구진의 논문 『Tranexamic acid reduces blood cost in long-segment spinal fusion surgery: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protocol』은 2020년 9월, Wolters Kluwer journal에 게재되었다. -
3
[Retraction Watch] 세포 압착 기술 관련 논문에 대한 저널 측의 우려 표시 조치 사례
한 생물공학 회사의 면역 치료제 플랫폼 기술이 기존의 방법보다 낫다고 주장한 PNAS1) 논문(2018년 게재)에 보고된 일부 연구 결과의 재현성(reproducibility)에 대해, 저널 측의 우려 표시(expression of concern) 조치가 취해졌다.
해당 논문이 발표되었을 때, STAT2)는 이에 대해 “미세 유체 세포 압착 기술3)(microfluidic4) squeezing)은 생체 내 1차 면역세포의 기능을 보존한다.”, “Roche5)와 같은 회사들이 이 기술을 사용하는 이유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중요한 논문.”이라고 평했다. -
4
[Retraction Watch] Tumor Biology 저널의 논문 철회 사례
한번에 여러 편의 논문을 철회했던 암 전문 저널이 지금부터 2014년까지의 게재 논문들을 조사한 후, 조작되었거나 잘못 사용된 이미지들을 포함하고 있는 논문 15편을 철회했다.
해당 저널 Tumor Biology1)는 2017년, 가짜 동료 심사(fake peer review)를 거쳐 출판된 부정직한 논문 107편을 철회했다. Spinger2)에서 Tumor Biology를 발행했던 2016년에도, 저널은 2017년의 대규모 논문 철회와 비슷한 사건을 겪었다. 그 이후인 2016년 12월부터는 SAGE3)가 해당 저널을 발행하게 되었다. -
5
[Retraction Watch] Viruses 저널의 코로나19 관련 논문 철회 사례
한 바이러스학 전문 저널은 코로나19를 유발하는 미생물에 관한 논문에 대해 저널의 우려 표시(expression of concern) 조치를 취했고, 5개월 후인 지난 12월, 이를 철회했다.
논문 『SARS–CoV–2 Spike Impairs DNA Damage Repair and Inhibits V(D)J Recombination In Vitro』는 ‘백신은 안전하지 않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서, 백신 회의론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
6
[Retraction Watch] Masaya Sawamura가 이끄는 연구진의 논문 철회 사례
최근 Science1)는 데이터 변조를 이유로, 2020년에 게재된, 친환경 의약품의 미래를 암시하는 내용의 논문 한 편을 철회했다.
삿포로 홋카이도 대학의 마사야 사와무라(Masaya Sawamura)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이 해당 논문 『Asymmetric remote C–H borylation of aliphatic amides and esters with a modular iridium catalyst』을 집필했다. -
7
[Retraction Watch] Jorge G. Arroyo가 이끄는 연구진의 논문 철회 사례
연구윤리심의 승인 문제로 인해, 한 안과 연구진의 논문 여덟 건에 대해 저널의 철회 조치가 취해졌다.
문제가 된 여덟 편의 연구논문들은 저널 세 곳을 통해 발표되었는데, 그 중 한 곳인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IOVS)1)에는 그 중 여섯 편의 논문이 게재되었다. 문제의 논문 여덟 편의 senior author2)는 하버드 대학(Harvard University)의 교수였던 Jorge G. Arroyo이다. Arroyo의 링크드인(LinkedIn)3) 페이지에 따르면, 현재 그는 Boston Vision이라는 개인병원에 소속되어 있다. -
8
[Retraction Watch] Yuuta Yano의 연구부정행위 및 관리·감독 소홀 사례
일본의 한 나노기술 연구진의 소속 대학이 그들의 연구부정행위에 대해 실시한 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과거 해당 대학 연구실 소속 대학원생이었던 연구원이 2015년 팀에 합류한 뒤 ‘연구 초기 단계에서부터(on a daily basis from a very early stage)’ 연구부정행위를 저질러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관련 증거들을 종합했을 때, (-보고서상 “전(前) 대학원생 A”로 지칭된-) 야노 유우타(Yuuta Yano)는 전면적인 데이터 위조를 비롯한 기타 연구부정행위를 저질렀다. -
9
[Retraction Watch] Xiofei Zhu가 이끄는 연구진의 논문 철회 사례
2021년 한 Lancet 저널1)에 게재되었던 췌장암 치료 관련 논문이 수많은 오류로 인해 철회 및 수정되었다.
해당 논문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plus pembrolizumab and trametinib versus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plus gemcitabine for locally recurrent pancreatic cancer after surgical resection: an open-label, randomised, controlled, phase 2 trial』은 2021년 7월 The Lancet Oncology2)를 통해 발표되었으며, 발표 당시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상에서 많은 관심을 받았다. Clarivate Analytics’ Web of Science3)에 따르면, 이 논문은 이미 7번 인용되었다. -
10
[Retraction Watch] Adel Nada가 이끄는 연구진의 논문 철회 사례
한 산부인과 저널이 데이터에 대한 의문으로 인해 큰 임상적 영향력을 가진 ‘제왕절개 분만 중인 여성 환자에 대한 스테로이드 사용‘에 관한 논문(2016)을 철회했다.
해당 논문 『Antenatal corticosteroid administration before elective caesarean section at term to prevent neonatal respiratory morbidi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는 Adel Nada가 이끄는 이집트 카이로 대학(Cairo University in Egypt) 소속 연구진이 집필했으며, 2016년,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EJOG)에 게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