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반사례
연구윤리 위반 및 논문철회 등의 사례를 제공합니다.
Total 362 Page 11 / 37
-
1
[Retraction Watch] 전 박사과정 학생이 공동 저자의 이름을 위조한 두 논문이 철회되었습니다.
유럽의 국립과학 협회 지식인 분야의 저널이 발간한 두 논문이 벨기에의 심장 전문의가 자신의 동의나 허가 없이 해당 논문에 자신의 이름이 포함되었다는 불만을 제기한 후 철회되었습니다. -
2
[Retraction Watch] Adel Nada가 이끄는 연구진의 논문 철회 사례
한 산부인과 저널이 데이터에 대한 의문으로 인해 큰 임상적 영향력을 가진 ‘제왕절개 분만 중인 여성 환자에 대한 스테로이드 사용‘에 관한 논문(2016)을 철회했다.
해당 논문 『Antenatal corticosteroid administration before elective caesarean section at term to prevent neonatal respiratory morbidi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는 Adel Nada가 이끄는 이집트 카이로 대학(Cairo University in Egypt) 소속 연구진이 집필했으며, 2016년,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EJOG)에 게재되었다. -
3
[Retraction Watch] Hamid Reza Rezvani가 이끄는 연구진의 논문 철회 사례
한 피부과 저널은 논평가들이 우려를 제기한 지 2년 6개월 만에 프랑스의 유관기관 두 곳에 2017년에 출판된 논문에 대한 조사를 요청했다.
The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1)는 2017년 6월에 게재된 논문 『NADPH Oxidase-1 Plays a Key Role in Keratinocyte Responses to UV Radiation and UVB-Induced Skin Carcinogenesis』에 대해 저널 측의 우려 표시(an expression of concern) 조치를 취했다. -
4
[Retraction Watch] Bu Lang Gao가 이끄는 연구진의 논문 철회 사례
이미 1편의 논문이 철회된 중국의 한 심장 전문 연구진이 데이터의 신뢰성 문제로 인해 4편의 논문에 대한 저널 측의 우려 표시(expressions of concern) 조치를 받게 되었다.
가장 최근에 저널 측의 우려 표시 조치(expressions of concern)를 받게 된 논문은 2019년, Springer Nature 발행 저널인 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된 『Asymmetrical middle cerebral artery bifurcations are more vulnerable to aneurysm formation』으로, 허베이성 의과대학 스좌장 제1 병원(Shijiazhuang First Hospital of Hebei Medical University)의 Bu Lang Gao가 이끄는 연구진이 이를 집필했다. -
5
[Retraction Watch] Kevin Wagner 및 그의 동료의 논문 철회 사례
2016년, 애리조나 대학의 Kevin Wagner와 그의 동료가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한 새로운 행성의 발견에 대한 논문은 수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뉴욕타임즈의 표현을 빌리자면, ‘HD 131399‘라는 이 천체의 발견은 “천문학자들이 3번의 노을(triple sunset)이 지는, 해질 녘 지평선 너머의 풍경이 매우 이국적인 행성을 발견한 것”이라고 한다. AP통신은 “HD 131399는 1년 중 특정 기간 동안 매일 하루에 해가 세 번 뜨고 지는 행성”이라고 표현했다. -
6
[Retraction Watch] Dilip Shah의 논문 철회 사례
논문에 삽입된 잘못된 이미지로 인해, 한 폐 전문 연구원이 여섯 번째 논문 철회 조치를 받게 되었다.
뉴저지 주 캠든에 위치한 쿠퍼 대학병원의 Vineet Bhandari 교수의 연구실 소속 박사 후 연구원(post-doc)이었던 Dilip Shah는 연구실에서 근무하던 2020년, the European Respiratory Journal에 『miR-184 mediates hyperoxia-induced injury by targeting cell death and angiogenesis signalling pathways in the developing lung』을 게재했다. 또한, 그는 해당 논문의 제1저자였다. -
7
[Retraction Watch] Sandra Delaney가 이끄는 연구진의 논문 철회 사례
다음은 문화적 유용(流用)1)에 관한 사례이다.
한 문화 연구 전문 저널은 광범위한 표절행위를 이유로, 호주의 Quandamooka2) 원주민들 간의 언어(말)에 관한 논문(2021년 게재)을 철회했다. -
8
[Retraction Watch] 연구부정행위 및 관리·감독 실패 사례
나고야 대학(Nagoya University)에서 수행한 조사를 통해 해당 연구 수행 과정에서 연구부정행위 및 관리·감독 소홀 등의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두 명의 교수와 두 명의 대학원생이 일본학술진흥회(Japan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Science, JSPS)1)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지 못하게 되었다. -
9
[Retraction Watch] Tie-Long Xu가 이끄는 연구진의 논문 철회 사례
한 PLOS 저널은 ivermectin1)이 뎅기열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고 주장한 논문(2018년 게재)에 대해 저널 측의 우려 표시(expression of concern) 조치를 취했다.
사실, 이 논문에 대한 저널의 재조사는 ivermectin이 매우 효과적인 코로나19 치료제로 과대평가된 최근의 상황에 회의를 느낀 한 연구자가 해당 논문을 자세히 살펴보던 중 문제점을 발견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
10
[Retraction Watch] Frontiers 발행 저널의 논문 철회 사례
동료심사를 거친, 과학·기술 분야의 오픈 액세스(open access) 저널을 발행하는 학술 출판사 Frontiers는 “위·변조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연구논문“에 대한 ”대대적인 내부 조사“를 진행할 것임을 발표한 이후, 지난달에만 최소 12편의 논문을 철회했다.
다음은 철회된 논문 12편 중 하나인 『Overexpression of microRNA-216a-3p Accelerates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Cardiomyocytes in Type 2 Diabetes Mellitus by Targeting IFN-α2 (2020년 11월 Frontiers in Endocrinology에 게재됨)』에 대한 저널 측의 철회 공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