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반사례
연구윤리 위반 및 논문철회 등의 사례를 제공합니다.
Total 353 Page 11 / 36
-
1
[Retraction Watch] Tie-Long Xu가 이끄는 연구진의 논문 철회 사례
한 PLOS 저널은 ivermectin1)이 뎅기열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고 주장한 논문(2018년 게재)에 대해 저널 측의 우려 표시(expression of concern) 조치를 취했다.
사실, 이 논문에 대한 저널의 재조사는 ivermectin이 매우 효과적인 코로나19 치료제로 과대평가된 최근의 상황에 회의를 느낀 한 연구자가 해당 논문을 자세히 살펴보던 중 문제점을 발견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
2
[Retraction Watch] Frontiers 발행 저널의 논문 철회 사례
동료심사를 거친, 과학·기술 분야의 오픈 액세스(open access) 저널을 발행하는 학술 출판사 Frontiers는 “위·변조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연구논문“에 대한 ”대대적인 내부 조사“를 진행할 것임을 발표한 이후, 지난달에만 최소 12편의 논문을 철회했다.
다음은 철회된 논문 12편 중 하나인 『Overexpression of microRNA-216a-3p Accelerates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Cardiomyocytes in Type 2 Diabetes Mellitus by Targeting IFN-α2 (2020년 11월 Frontiers in Endocrinology에 게재됨)』에 대한 저널 측의 철회 공지이다: -
3
[Retraction Watch] Cancer Management and Research 저널의 논문 철회 사례
한 암 관련 논문의 저자들은 연구의 주제와 관련이 없는 다른 논문의 내용 일부를 표절했다는 사실을 인정한 후, 해당 논문을 철회했다.
다음은 2020년 7월, Cancer Management and Research에 게재되었던 해당 논문 『Regulation of RUNX3 Expression by DNA Methylation in Prostate Cancer』에 대한 저널 측의 철회 공지이다: -
4
[Retraction Watch] Babin Dhas Devadhasan의 논문 철회 사례
노르웨이 인랜드 응용과학 전문대학(Inland Norway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의 Svein Åge K. Johnsen과 Ingeborg Olsdatter Busterud Flagstad는 녹색 기업가 정신(green entrepreneurship)에 관한 원고를 출판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2021년 1월, 그들은 SAGE1) 발행 저널인 International Small Business Journal2)에 자신들의 원고를 투고했으나, 저널의 편집 담당자들은 동료 심사 절차를 거치지 않고 이를 거절했다. 또 다른 SAGE 발행 저널인 The Journal of Entrepreneurship3) 역시 마찬가지였다. -
5
[Retraction Watch] Hui (Herb) Bin Sun과 Daniel Leong의 연구비 신청서 위조
12년간, NIH1)가 지원하는 연구에 참여할 경우, 자신의 연구를 관리·감독받을 것에 동의한 한 연구원이 ORI2)의 조사가 진행되고 그에 따른 조치가 취해지기 2년 전인 2019년 말, 이미 뉴욕의 앨버트 아인슈타인 의과대학(Albert Einstein College of Medicine)에서 해고되었다. -
6
[Retraction Watch] Abolfazl Akbarzadeh가 이끄는 연구진의 논문 철회 사례
논문에 포함된 그림의 문제로 인해 네 편의 논문이 철회됨으로써, 이란 출신의 나노기술 연구진은 총 아홉 편의 논문을 잃게 되었다.
이전에 보스턴 대학(Boston University)과 UCLA에서 초빙교수로 근무했으며, 현재는 이란 타브리즈 공립 의과 대학(Tabriz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의 의약화학자(medicinal chemist)인 Abolfazl Akbarzadeh가 이 연구를 이끌었다. 한편, Elisabeth Bik와 Hoya camphorifolia를 비롯한 PubPeer의 논평가들은 해당 논문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
7
[Retraction Watch] Pallab Bhattacharya, Anand Kumar Pandey 등의 논문 철
한 생의학공학(biomedical engineering) 연구진은 자신들이 집필한 타 논문의 이미지를 재사용하여 논문 네 편을 잃게 되었다.
인도 바나스 힌두 대학교(Banaras Hindu University in India) 소속인 이 연구진의 철회 대상 논문들은 2011년부터 2014년 사이에 출판되었다. 이 논문들은 PubPeer의 논평자들이 해당 논문들에 포함된 이미지들 간의 유사성을 지적한 후, 2020년부터 철회되기 시작했다. -
8
[Retraction Watch] ivermectin-코로나19 관련 논문 철회 사례
코로나19 치료에 대한 ivermectin1)의 잠재적 활용 가능성(potential use)에 대한 논문이 여러 가지 결함으로 인해 철회되었다. 이로써, 이 논문도 연구 결과 및 결론을 뒷받침할 증거가 없어 철회된 논문들(최소 10편 이상)의 리스트에 추가되었다.
이 논문은 Toxicology Reports2) 코로나19 특집호에 게재되었는데, 해당 특집호에 게재된 논문 대부분이 저널의 우려 표시(expression of concern) 조치를 받았다. -
9
[Retraction Watch] Damian Jacob Sendler와 Michal Lew-Starowicz의 논문 철회
2019년에 발표된 동물과 성관계를 맺는 습관이 있는 사람들에 대한 논문을 잃었던 전적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한 성 연구자(sex researcher)가 제대로 된 연구윤리심의 승인을 받지 않았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우려가 제기된 논문 『Digital Ethnography of Zoophilia — A Multinational Mixed-Methods Study』는 Damian Jacob Sendler와 공동 저자인 Michal Lew-Starowicz에 의해 집필되었으며, Journal of Sex & Marital Therapy1)에 게재되었다. -
10
[Retraction Watch] ivermectin 관련 논문 철회 사례
preprint server1) SocArXiv2)의 감독관들은 코로나19 환자에게 ivermectin3)을 투약할 시 장기간의 입원 치료 확률이 극적으로 감소한다고 주장하는 논문을 철회했다. 또한, 그들은 해당 논문의 내용에는 오해의 소지가 있으며, 이는 ‘코로나19로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에게 수십만 회분에 달하는 부적절한 약품을 배포하려는 멕시코시티 연방정부의 비윤리적인 계획의 일부’라고 말했다.
문제의 논문 『Ivermectin and the odds of hospitalization due to COVID-19: evidence from a quasi-experimental analysis based on a public intervention in Mexico City』는 2021년 5월 SocArXiv에 게재된 이후 쭉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