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윤리실무] 본 조사가 마무리된 후 최종 보고서를 작성할 때 어떤 내용들이 포함되도록 해야 합니까?
-
[연구윤리실무] 교원의 재임용을 위한 서류 심사 과정에서 중복게재 의심이 발견되는 경우 재임용심사위원회는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합니까?
-
[연구윤리실무] 교육과학기술부의 연구윤리확보를 위한 지침이 2011년 개정되었고 2012년 수정되었습니다. 각 기관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합니까?
-
[논문,출판/지식재산권] 저작권의 발생시점은 소리나 문자 등과 같은 표현이 외부에 공개된 시기로 알고 있는데, 특정의 블로그에 자신이 착안한 논문의 아이디어를 공개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저작권이 발생하는지 여부
-
[논문,출판/지식재산권] 제가 연구하는 분야의 논문을 쓰는 과정에서 특정 사항의 설명을 위하여 출판된 서적에 기재된 그림을 사용하고자 하는데, 이 경우 이용허락의 대상이 출판사인지 아니면 저작자인지 여부
-
[논문,출판/지식재산권] 최근 대학 강의노트가 인터넷에서 유료로 판매되고 있는데, 특정 교수님의 강의 내용을 정리한 경우에는 필기한 사람이 저작권을 가질 수 있는 것인지, 즉 학교 수업에서 강의를 필기한 노트의 저작권이 누구에게 있는지 여부
-
[논문,출판/지식재산권] A(질의자)와 B(연구자)가 공동 작업하여 연구회에 발표한 논문이 있으며, 이 논문을 A와 B는 저널에 투고를 준비 중 이었으나, C(B의 후임)가 A와 B의 결과물을 저작권에 대한 협의나 논의를 거치지 않고 C의 이름만을 저작자로 기록하여 인터넷에 게재한바, 이 경우 A 등은 어떻게 하여야 하는지에 관한 질의
-
[논문,출판/지식재산권] 박사학위 논문을 작성하여 심사를 통과한 후, 해당 논문을 일부 수정하여 저널에 투고하였는데, 저널의 게재심사를 통과하여 저널에 실리게 되는 경우에 그 논문의 저작권은 누구에게 있는지 또한 그 논문의 내용을 갖고 책을 쓴다면 그 저작권을 제가 보유할 수 있는지 여부
-
[논문,출판/지식재산권] Google을 통하여 특정 주제에 대하여 검색하였더니 제가 쓴 논문이 검색되어서, 해당 논문이 업로드된 웹사이트를 찾아보니 일본에 있는 저의 박사과정 지도교수 홈페이지에 연구업적을 등록한 부분에 있는 PDF File이었음. 해당 논문은 제가 제1저자이고 지도교수가 제2저자, 그리고 한국에서의 제 석사과정 지도교수가 제3저자로 되어 있는데, 저널 투고시 교신저자를 한국의 석사과정 지도교수로 하여, 저널에 논문의 저작권 양도합의서는 교신저자가 서명
-
[논문,출판/지식재산권] 미국에서 학위를 마치고 다음달 한국으로 귀국하게 되는데, 공무원으로 재직하던 중 유학을 간 것이어서 한국학술진흥재단에 저의 박사학위논문을 신고하여야 하고 이 과정에서 ‘논문동의서’가 제출되어야 한다고 하나, 저는 미국의 ProQuest에 해당 논문의 저작권이용허락을 하였음. 이 경우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논문동의서’에 따라 누구나 제 논문을 열람 및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되는데, 미국의 ProQuest와의 문제가 발생할 소지는 없는지 여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