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부정행위] 대학 전임교원 채용심사에서 지원자가 제출한 논문에서 연구부정행위 의혹이 제기되었다. 검증주체는 어디인가?
-
[연구부정행위] 학술지에서 논문을 검증하여 조사결과를 해당 연구자의 소속기관에 통보하였다. 소속기관은 학회의 검증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최종판정 할 수 있는가?
-
[연구부정행위] 연구부정행위 검증 시효가 남아있는 대학의 경우, 5년 이전의 학위논문은 검증의 대상에서 제외되는가?
-
[연구부정행위] 모 학술지에 투고된 논문을 심사하던 중에 표절과 중복게재 의혹이 제기되었다. 학술지는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
-
[연구부정행위] 이공계 연구분야의 저자가 이전에 발표한 논문에서 기술한 바 있는 실험 방법으로 새로운 실험 데이터를 얻어 새로운 논문을 작성할 때 자기표절에 해당하는가?
-
[연구부정행위] 박사학위 논문의 일부를 수정·보완하여 학술지에 재출판하거나 국내 학술지 논문을 외국어로 번역하여 해외학술지에 재출판하는 것이 가능한가?
-
[연구부정행위] 이공계 분야의 지도교수가 자신이 지도한 대학원생의 학위 논문을 바탕으로 연구과제의 결과물로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이러한 행위가 연구윤리위반에 해당하는가?
-
[연구성과관리] A 기관에 근무하던 연구자가 소속을 옮겨, A 기관에 재직 당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문을 투고할 경우 소속 표기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
[연구성과관리] 연구위탁기관에 제출한 연구보고서를 논문으로 출판하면서 동의를 확보하지 못하고 감사의 글로 표기하였다. 주관연구기관에서 표절이라고 주장하는 것이 타당한가?
-
[저작권] 학술적 글쓰기에서 ‘표절’과 ‘저작권 침해’는 어떻게 다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