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반사례
연구윤리 위반 및 논문철회 등의 사례를 제공합니다.
Total 241 Page 16 / 25
-
1
[ORI] Mirchandani, Alec의 실험 관련 데이터 위·변조 사례
플로리다 애틀랜틱 대학교(FAU)의 Alec Mirchandani : 플로리다 대학(FAU)의 조사보고서 및 피조사자의 시인, 그리고 미 연구진실성관리국(ORI)의 감독 심사에서 수행한 추가 분석을 바탕으로, ORI는 플로리다 애틀랜틱 대학교(FAU) 컴플랙스 시스템 및 뇌과학 센터(Complex Systems and Brain Sciences)의 학사 후 연구원(research volunteer)1)이었던 Alec Mirchandani(피조사자)가 미 국립 정신건강 연구소(NIMH)와 미 국립보건원(NIH)의 연구비 1 R15 MH099590-01A1의 지원을 받은 연구를 수행하던 중 연구부정행위에 연루되었음을 확인했다. -
2
[ORI] Kornak, Paul H.의 문서·연구기록 위·변조 및 연구대상자 관리 소홀 사례
뉴욕 올버니 스트라턴 VA 메디컬 센터(재향군인병원)의 Paul H. Kornak : 미 연구진실성 관리국(ORI) 및 미 보건복지부(HHS) 부차관보와 미 보훈부(VA)1)의 연구관리감독국(ORO) 및 보건차관보의 권고에 따라, 제재조치 담당관(HHS debarring official)은 뉴욕 올버니 스트라턴 VA 메디컬 센터(재향군인병원)의 연구지원 코디네이터였던 Paul H. Kornak에게 행정조치를 취했다. -
3
[ORI] Li, Zhiyu의 논문, 원고, 포스터, 연구비신청서 및 보고서 위·변조 사례
마운트 시나이 의과대학(MSSM)의 Zhiyu Li 박사 : 마운트 시나이 의과대학(MSSM)의 조사보고서와 미 연구진실성 관리국(ORI)의 감독 심사에서 수행한 추가 분석을 바탕으로, ORI는 마운트 시나이 의과대학(MSSM)의 박사 후 연구원이었던 Zhiyu Li 박사가 암 연구소(NCI)와 미 국립보건원(NIH)의 연구비 R21 CA120017의 지원을 받은 연구를 수행하던 중 연구부정행위에 연루되었음을 확인했다. -
4
[ORI] Elqutub, Maria Cristina Miron의 연구보고서 및 논문 변조 사례
텍사스 대학 MD 앤더슨 암 센터(MDACC)의 Maria Cristina Miron Elqutub : 피조사자의 시인과 텍사스 대학 MD 앤더슨 암 센터(MDACC)의 조사보고서 및 미 연구진실성 관리국(ORI)의 감독 심사에서 수행한 추가 분석을 바탕으로, ORI는 텍사스 대학 MD 앤더슨 암 센터(MDACC)의 리서치 인터뷰어(Research Interviewer)1)인 Maria Cristina Miron Elqutub가 미 국립 치아·두개악안면연구소(NIDCR)2)와 미 국립보건원(NIH)의 연구비 U01 DE019765-01의 지원을 받은 연구를 수행하던 중 연구부정행위에 연루되었음을 확인했다. -
5
[ORI] Tataroglu, Ozgur의 연구비신청서 및 논문 위·변조 사례
매사추세츠 의과대학(UMMS)의 Ozgur Tataroglu1) 박사 : 매사추세츠 의과대학(UMMS)의 조사와 미 연구진실성 관리국(ORI)의 감독 심사에서 수행한 추가 분석을 바탕으로, ORI는 매사추세츠 의과대학(UMMS) 신경생물학과 박사 후 펠로우였던 Ozgur Tataroglu 박사가 미 공중보건국(PHS), 특히 미 국립의학연구소(NIGMS)2)과 미 국립보건원(NIH)의 연구비 R01 GM066777과 R01 GM079182의 지원을 받은 연구를 수행하던 중 연구부정행위에 연루되었음을 확인했다. -
6
[ORI] Potts Kant, Erin N.의 논문 위조·변조 사례
듀크 의과대학(Duke)의 Erin N. Potts Kant : 듀크 의과대학(Duke)의 조사보고서 및 피조사자의 시인, 미 연구진실성 관리국(ORI)의 감독 심사에서 수행한 추가 분석을 바탕으로 ORI는 Erin N. Potts Kant가 미 공중보건국(PHS), 특히 미 국립 심장폐혈액연구소(NHLBI)1)와 미 국립보건원(NIH), 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2), 환경보건과학연구소(NIEHS)3), 당뇨병, 소화기병 및 신장병 연구소(NIDDK)4), 암 연구소(NCI)5), 그리고 연구자원센터(NCRR)6)와 아동보건·인간발달연구소(NICHD)7)의 지원을 받은 연구를 수행하던 중 연구부정행위에 연루되었음을 확인했다. 다음은 이와 관련된 연구비신청서의 목록이다: -
7
[ORI] Yakkanti, Sudhakar의 연구비신청서, 원고 및 논문 위·변조 사례
보이스 타운 내셔널 리서치 종합병원(BTNRH)의 Sudhakar Yakkanti 박사 : 보이스 타운 내셔널 리서치 종합병원(BTNRH)의 조사보고서와 미 연구진실성 관리국(ORI)의 감독 심사에서 수행한 추가 분석을 바탕으로, ORI는 보이스 타운 내셔널 리서치 종합병원(BTNRH) 세포신호, 망막 및 종양의 혈관신생 실험실에서 staff scientist로 근무했던 Sudhakar 박사(피조사자)가 미 공중보건국, 특히 암 연구소(NCI)1)와 미 국립보건원(NIH)의 연구비 R01 CA143128, 안 연구소(NEI)2)와 미 국립보건원(NIH)의 연구비 R01 EY018179와 R01 EY16695, 그리고 당뇨병, 소화기병 및 신장병 연구소(NIDDK)3)와 미 국립보건원(NIH)의 연구비 R01 DK055000, R01 DK055001, R01 DK062987 및 R01 DK051711의 지원을 받은 연구를 수행하던 중 연구부정행위에 연루되었음을 확인했다. -
8
[ORI] Baughman, Brandi M.의 원고 및 논문 위조·변조 사례
노스캐롤라이나 대학 - 채플 힐(UNC)의 Brandi M. Baughman 박사 : 노스캐롤라이나 대학(UNC)의 조사보고서와 피조사자의 시인, 미 연구진실성 관리국(ORI)의 감독 심사에서 수행한 추가 분석을 바탕으로 ORI는 노스캐롤라이나 대학(UNC)의 생화학 및 약물 조사 통합 센터에서 생화학 및 의화학과 박사 후 펠로우로 근무했던 Baughman 박사가 미 국립의학연구소(NIGMS)1)과 미 국립보건원(NIH)의 연구비 R01 GM100919의 지원을 받은 연구를 수행하던 중 연구부정행위에 연루되었음을 확인했다. -
9
[ORI] Murthy, Krishna H.M의 연구비신청서, 논문, 포스터 위·변조 사례
앨러배마 대학 – 버밍엄(UAB)의 H.M. Krishna Murthy 박사 : 앨러배마 대학(UAB)의 조사보고서와 추가로 획득한 관련 증거에 대한 미 연구진실성 관리국(ORI)의 감독 심사에서 수행한 추가 분석을 바탕으로, ORI는 앨러배마 대학(UAB) 안과학(Vision Science) 연구교수였던 H.M. Krishna Murthy 박사(피조사자)가 미 공중보건국(PHS), 특히 미 국립 신경질환뇌졸중연구소(NINDS)1)와 미 국립보건원(NIH)의 연구비 R01 AI051615, R01 AI032078, R01 AI045623과 미 국립 심장폐혈액연구소(NHLBI)2)와 미 국립보건원(NIH)의 연구비 P01 HL034343과 R01 HL064272, 그리고 미 국립 당뇨병, 소화기병 및 신장병 연구소(NIDDK)3)와 미 국립보건원(NIH)의 연구비 R01 DK046900의 지원을 받은 연구를 수행하던 중 연구부정행위에 연루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10
[ORI] Lin, Yibin의 논문 및 원고 위조·변조·표절 사례
텍사스 대학 보건과학센터(UTHealth)에서 실시한 조사보고서와 피조사자의 시인 및 미국연구진실성 관리국(ORI)의 감독심사에서 수행한 분석을 바탕으로, ORI는 UTHealth의 McGovern 의과대학 박사 연구원인 Yibin Lin (피조사자)이 미공중보건국(PHS), 특히 미국립감염병연구소(NIAID), 미국립보건원(NIH) 연구비 grant R01 AI125216의 지원을 받는 연구에서 연구부정행위에 관여한 것을 확인했다. ORI는 피조사자가 다음의 출판논문에 보고된 자료와 내용을 고의로 위조· 변조· 표절하는 등 연구부정에 관여한 사실을 밝혀냈으며, 그 논문은 철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