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반사례
연구윤리 위반 및 논문철회 등의 사례를 제공합니다.
Total 241 Page 14 / 25
-
1
[Retraction Watch] Hari Koul의 논문 철회 사례
이전에 논문 철회로 인해 학과장직에서 물러났던 비뇨기과 교수가 또 다른 논문을 잃었다. 해당 논문에 대한 연구부정행위 조사 과정에서는 특이점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2021년 8월, PubPeer1)의 한 논평가가 논문에 제시된 그림이 중복된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Hari Koul은 작년 12월까지 루이지애나 뉴올리언스 의과대학(LSU Health New Orleans)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과의 임시 학과장을 맡고 있었다. -
2
[Retraction Watch] Iraj Daizade의 논문 철회 사례
타케다(Takeda)1)의 한 직원은 “무심코 출판한 것”이라는 이유로 2021년에 게재된 논문을 잃었다.
이 논문, 『Seasonal and Secular Periodicities Identified in the Dynamics of US FDA Medical Devices (1976–2020): Portends Intrinsic Industrial Transformation and Independence of Certain Crises』는 2021년 8월, Therapeutic Innovation & Regulatory Science2)에 게재되었다. Clarivate Analytics’ Web of Science3)에 따르면, 이 논문은 아직 한번도 인용되지 않았다. -
3
[Retraction Watch] 코로나19 및 ivermectin 관련 논문 철회 사례
코로나19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기 위한 치료제로 ivermectin1)을 제시하여 논란의 중심이 되었던 논문의 저자들은 이 연구가 널리 "잘못 해석되고(misinterpreted)" 있으며, 환자에게 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해당 논문의 철회를 요청했다.
해당 논문(초록)『Treatment with Ivermectin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Mortality in COVID-19 Patients: Analysis of a National Federated Database』은 2021년 개최된 ‘새롭게 등장한 질병 및 방역 활동에 관한 국제회의(International Meeting on Emerging Diseases and Surveillance, IMED)’에서 발표되었다. -
4
[ORI] Jaiswal, Anil Kumar의 연구비신청서 및 논문 위조·변조 사례
볼티모어에 위치한 메릴랜드 의과대학(UMB)에서 수행한 조사보고서와 미국연구진실성관리국(ORI)의 감독 심사에서 수행한 추가 분석을 바탕으로, ORI는 메릴랜드 대학 약리학과 교수인 Anil K. Jaiswal 박사(피조사자)가 미공중보건국(PHS)이 지원하는 연구에서 연구 부정행위에 관여한 사실을 확인했다. ORI는 피조사자가 고의로 (a) 웨스턴 블롯 분석을 거짓으로 나타내거나 위조하기 위해 필름이나 상자의 빈 배경을 사용하였음 (b) 조작된 이미지를 사용하여 그림 자료에 변조된 데이터를 생성 및 보고하였음 (c) 잘못된 레이블이 붙은 이미지를 사용하여 그림 자료에 잘못 보고하였음을 확인했다. -
5
[ORI] Fulford, Logan의 출판논문 및 원고 변조 사례
신시내티 아동 의료센터의 Logan Fulford: 신시내티 아동의료센터의 조사보고서와 미국연구진실성관리국(ORI)의 감독심사에서 수행한 추가분석을 토대로, ORI는 신시내티 아동의료센터의 연구조교이자 신시내티 대학의 대학원생이었던 Logan Fulford (피조사자)가 국립암연구소(NCI), 국립보건원(NIH) 연구비 grant R01 CA142724 지원과 국립심폐혈연구소(NHLBI) 연구비 grant R01 HL084151지원을 받는 연구에서 부정행위에 관여했음을 확인했다 -
6
[ORI] Malhotra, Deepti의 논문 위조·변조 사례
존스 홉킨스 블룸버그 공중 보건 대학(JHSPH)의 Deepti Malhotra 박사 : 존스 홉킨스 블룸버그 공중 보건 대학(JHSPH)의 조사보고서와 미 연구진실성 관리국(ORI)의 감독 심사에서 수행한 추가 분석을 바탕으로, ORI는 존스 홉킨스 블룸버그 공중 보건 대학(JHSPH) 보건환경학과 박사과정생 및 박사 후 펠로우였던 Deepti Malhotra 박사가 미 공중보건국(PHS), 특히 미 국립 심장폐혈액연구소(NHLBI)1)와 미 국립보건원(NIH)의 연구비 R01 HL081205와 P50 HL084945, P50 HL084948-01, U01 HL105569-03, P50 HL107169-01, R01 HL066554-09, 및 R03 HL096931-02의 지원을 받은 연구를 수행하던 중 연구부정행위에 연루되었음을 확인했다. -
7
[ORI] Cullinane, Andrew R.의 논문 및 원고 위·변조 사례
미 국립보건원(NIH)의 Andrew R. Cullinane 박사 : 피조사자의 시인 및 NIH의 평가, 그리고 미 연구진실성 관리국(ORI)의 감독 심사에서 수행한 분석을 바탕으로, ORI는 NIH 산하의 인간유전체연구소(NHGRI)1) 유전의학과 박사 후 펠로우였던 Andrew R. 박사가 NHGRI와 NIH의 지원을 받은 연구를 수행하던 중 연구부정행위에 연루되었음을 확인했다. -
8
[ORI] Cruikshank, William W.의 연구비신청서, 논문, 원고 위·변조 사례
보스턴 의과대학(BU)의 William W. Cruikshank 1)박사 : 보스턴 의과대학(BU)의 조사보고서와 미 연구진실성 관리국(ORI)의 감독 심사에서 수행한 추가 분석을 바탕으로, ORI는 보스턴 의과대학 Pulmonary Center의 교수였던 William W. Cruikshank 박사(피조사자)가 암 연구소(NCI)2)와 미 국립보건원(NIH)의 연구비 R01 CA122737-01A2의 지원을 받은 연구를 수행하던 중 연구부정행위에 연루되었음을 확인했다. -
9
[ORI] Panka, David의 논문 및 발표자료 위조·변조 사례
하버드 의학전문대와 Beth Israel Deaconess 의료센터의 David J. Panka 박사 : Beth Israel Deaconess 의료센터 (BIDMC)와 하버드 의학전문대(HMS)에서 수행한 조사보고서와 미국연구진실성 관리국 (ORI) 감독심사에서 이뤄진 추가분석을 바탕으로, ORI는 해당의료센터에서 하버드 의학대학 강사 및 부교수였던 David J. Panka 박사 (피조사자)가 미공중보건국(PHS), 특히 미국립암연구소(NCI)와 미국립보건원(NIH) 연구비 P50 CA093683, P50 CA101942의 지원을 받은 연구에서 연구부정행위에 관여했음을 확인했다. -
10
[ORI] Kim, Shin-Hee의 논문 및 연구비신청서 위조·변조 사례
매릴랜드 대학의 김신희 박사: 메릴랜드 대학(UMD)에서 수행한 조사와 미국연구진실성관리국(ORI)의 감독 심사에서 수행한 추가 분석을 바탕으로, ORI는 메릴랜드 대학 수의학 조교수인 김신희 박사(피조사자)가 미공중보건국(PHS)과 특히 미국립감염병연구소(NIAID), 미국립보건원(NIH)이 지원하는 연구에서 부정행위에 관여한 사실을 확인했다.